Adenosine deaminase |
Catalog No.GC35250 |
Adenosine deaminase (ADA)는 푸린 대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. 이것은 아데노신과 드이옥시아데노신에 대해서는 돌이킬 수 없는 디아미네이션 작용을 일으키며, 각각 인오신과 드이옥시인오신으로 전환한다.
Products are for research use only. Not for human use. We do not sell to patients.
Cas No.: 9026-93-1
Sample solution is provided at 25 µL, 10mM.
Adenosine deaminase (ADA)는 푸린 대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. 이것은 아데노신과 드이옥시아데노신에 대해서는 돌이킬 수 없는 디아미네이션 작용을 일으키며, 각각 인오신과 드이옥시인오신으로 전환한다.
Adenosine deaminase는 박테리아, 식물, 무척추동물, 유척추동물 및 포유류에서 발견되었으며, 그 Adenosine deaminase는 매우 보존되어 있다[2]. Adenosine deaminase는 T 림프구 활성화와 관련된 신호 분자로서, 특히 뇌수염 및 흉막염에 있어서 염증의 유용한 표지로 사용된다 [3]. Adenosine deaminase는 인체에서 면역계의 발달과 유지를 위한 주요 기능을 한다. 유전적 Adenosine deaminase 결핍은 림프구의 분화 및 성숙을 감소시켜 림프구 감소증과 심각한 결합면역결핍증 (SCID)으로 이어진다 [4]. 이 제품은 가루 형태로 제공되며, 물에 20%의 글리세롤을 첨가하여 재건성된다. 150 units/mg의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, pH 7.0-9.0에서 안정적이며, 33kDa (SDS-PAGE)의 분자량을 가지고 있다.
체외 실험에서 adenosine deaminase (3 units /ml)를 세포 재배 매체에 추가하여 외래성 아데노신을 제거하고 사이클릭 아데노신 몬오포스포레이트(cAMP) 측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[5]. 체내 실험에서adenosine deaminase (3 units /㎏)는 스트레프토조토신(STZ)으로 유발된 당뇨병 쥐에 대해 4주 동안 치료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IL-1β, IL-6, 그리고 IL-18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며, 단백질뇨를 완화시키고 신장 조직에서의 섬유화 유인자 α-SMA 수준을 낮추었다 [6].
References:
[1] Sauer A V, Brigida I, Carriglio N, et al. Autoimmune dysregulation and purine metabolism in adenosine deaminase deficiency[J]. Frontiers in immunology, 2012, 3: 265.
[2] Cristalli G, Costanzi S, Lambertucci C, et al. Adenosine deaminase: functional implications and different classes of inhibitors[J]. Medicinal research reviews, 2001, 21(2): 105-128.
[3] Silva Dalsasso Joaquim L, Granzotto N, Dos Santos L F, et al. Analytical validation of an in‐house method for adenosine deaminase determination[J].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Analysis, 2019, 33(3): e22823.
[4] Bradford K L, Moretti F A, Carbonaro-Sarracino D A, et al. Adenosine deaminase (ADA)-deficient severe combined immune deficiency (SCID): molecular pathogenesis and clinical manifestations[J]. Journal of clinical immunology, 2017, 37: 626-637.
[5] Iyer S V, Ranjan A, Elias H K, et al. Genome-wide RNAi screening identifies TMIGD3 isoform1 as a suppressor of NF-κB and osteosarcoma progression[J]. Nature Communications, 2016, 7(1): 13561.
[6] Garrido W, Jara C, Torres A, et al. Blockade of the adenosine A3 receptor attenuates caspase 1 activation in renal tubule epithelial cells and decreases interleukins IL-1β and IL-18 in diabetic rats[J].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, 2019, 20(18): 4531.
Average Rating: 5
(Based on Reviews and 14 reference(s) in Google Scholar.)GLPBIO products are for RESEARCH USE ONLY. Please make sure your review or question is research based.
Required fields are marked with *